
개요
안녕하세요 빈코입니다. 오늘은 서버 세팅 요소 중 하나인 리눅스 파티션 설정과 디스크 마운트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으로 나뉘고 각 파티션은 논리적으로 독립된 공간으로 분할된 디스크 영역을 나타냅니다. 이것은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. 그럼 설정하는 방법을 바로 알아볼까요?
파티션 설정📙
첫 번째로는 fdisk를 활용하여 마운트 할 디스크명을 확인합니다.
fdisk -l

두 번째로 파티션을 추가해줍니다.
fdisk /dev/vdb
위 명령어를 치면 아래와 같은 질문이 나오는데,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기 위해 n을 입력해 주고 기본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질문이 끝날때까지 엔터를 치시면 됩니다. 마지막에 똑같이 Common ~ 질문이 나오면 w로 fdisk를 종료해 주면 파티션 추가가 끝이 납니다.

다시 한번 fdisk -l로 목록을 조회하시면 아래와 같이 dev/vdb 하위에 dev/vdb1 파티션이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디스크 포맷 및 마운트 설정하기📘
디스크 포맷은 방금 만든 /dev/vdb1에 아래 명령어로 진행하면 됩니다.
sudo mkfs.xfs -f /dev/vdb1

이후에 마운트 설정은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터리에 마운트 설정을 아래 명령어로 진행합니다.
mkdir /pcfilter
mount /dev/vdb1 /pcfilter
df -Th

만약 부팅시마다 영구적으로 마운트 하고 싶다면 아래 설정을 따라 하시면 됩니다.
vi /etc/fstab
해당 파일을 열고 맨 끝 줄에 /dev/vdb1 /pcfilter xfs defaults, no fail 0 0 삽입

마치며
지금까지 리눅스 파티션 설정과 디스크 영구 마운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실무에서 기능 개발 후 테스트를 위한 서버를 세팅하는 일이 많은데, 포스팅 내용을 하나씩 따라가시면 쉽게 세팅할 수 있을 거예요 :)
👨👩👦👦 오픈채팅방 운영
취업을 준비하는 예비 개발자분들을 위한 질문&답변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습니다. 취업과 이직을 하기 위해서 어떤 걸 중점적으로 준비해야 하는지부터 포트폴리오&이력서 작성법 등 다양한 질문들을 받고 답변을 드립니다. 참여하셔서 다양한 정보 얻고 가시면 좋을 것 같네요😁
참여코드 : 456456
https://open.kakao.com/o/gVHZP8dg
비전공 개발자 취업 준비방(질문&답변)
#비전공 #개발자 #취업 #멘토링 #부트캠프 #국비지원 #백엔드 #프론트엔드 #중소기업 #중견기업 #자바 #Java #sql
open.kakao.com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HTTP Server 쉽게 이해하기 및 예제 (1) | 2024.09.09 |
---|---|
SMTP 정의 및 Java에서 메일 발송 기능 활용해보기(간단 예시) (2) | 2024.09.04 |
HTTP와 HTTPS의 차이점 (0) | 2024.04.25 |
HTTP Method 종류 및 사용 방법(GET, POST, PUT, DELETE) (1) | 2024.04.19 |
E2E(End-to-End) 테스트 요약 정리 (0) | 2024.04.11 |